julia coding story
Segmentation 2 본문
□ Active contour
▶ Level Set
○ 함수 𝜙(x, y)은 모든 점 x,y로 구성되며, 여기서 𝜙(x, y) = k이다.
○ 함수 𝜙(x, y)의 0-level 수준 집합은 모든 점 x,y로 구성되며 𝜙(x, y) =0 이다.
○ 0 -수준 집합은 𝜙(x, 𝑦) < 0과 𝜙(x, 𝑦) > 0로 구분되는 닫힌 경계로 구성된다.

○ 0-level 집합은 경계를 분할하도록 진화된다.
○ 인터페이스라고 한다.
○ 레벨 설정 방법은 다음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진화시킨다.
1) 고유 특성 : 경계의 smoothness을 강제한다.
2) 외적 특성 : 경계에서 0-레벨 집합을 종료시킨다.
3) 도메인 지식(domain knowledge) : 초기 수준 집합의 배치
▶ Signed Distance Function
○ C(t) 는 시간 t에서 0-level set의 점 집합이다.
○ 𝑑(𝑥, 𝑦, 𝐶(𝑡)) 는 x, y의 최단 거리이다.


▶ Intrinsic Properties
○ 경계의 smoothness 강화

▶ Extrinsic Properties
○ 경계에서 0-level set을 종료

▶ Domain knowledge
○ 초기화 문제 : 영상에 초기 0-level set를 배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? -> 초기 윤곽선의 위치는 분할할 객체와 관련 있다.
▶ Level Set Methods
○ Region-based model : 이미지의 edges를 추정할 필요 없음
○ Edge-based model
○ Chan-Vase Method : 경사 강하를 통해 레벨 설정 함수 𝜙(𝑥, 𝑦)를 업데이트하여 비용 함수를 반복적으로 최소화한다.
▶ Level Set Segmentation
○ Matlab에서 activecontour()를 사용한다.

○ Domain knowledge가 중요함
□ Evaluation of segmentation accuracy
▶Evaluation of Segmentation
○ segmentation method로 생성된 기준 mask와 mask 사이의 중첩 측정
○ 기준(Reference) mask : 진리, 일반적으로 수동 segment(직접 그려서)을 통해 얻을 수 있음
○ 측정 지표 : Dice 유사도 계수 (or F1 score)
○ Jaccard 유사성 계수 (or intersection over union (IoU)
▶Binary Classification

▶ Dice Coefficient (F1 Score)

○ 일대일 대응
▶ F1 Score
○ 정밀도(percision)와 회수율(recall)의 조화 평균

▶ Jaccard Coefficient (IoU)

▶ Housdorff Distance
○ 대략적으로 말하면, Housdorff 거리는 기준 등고선과 방법에 분할된 등고선 사이의 가장 긴 거리이다.
○ Housdorff 거리가 길수록 분할 정확도가 떨어진다.

○ 특이치에 민감함
○ 주사위 점수가 1에 가깝습니다.
○ Housdorff 거리가 큼
'소프트웨어 > 의료영상데이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Quantification] (0) | 2022.12.13 |
---|---|
Segmentation 1 (0) | 2022.10.18 |
Registration 1 (0) | 2022.10.18 |
Registration 2 (0) | 2022.10.18 |
Medical Imaging Techniques (0) | 2022.10.15 |